본문 바로가기
파이널 판타지 8 퀴즈

레벨 28, 레벨 29, 레벨 30

by yora 2025. 3. 8.

<레벨 28>

1) 민첩(Speed, 早さ)이 올라가면 ATB 게이지가 빨리 모인다.

더보기

Yes. 민첩에 고급 마법을 정션하면 공격 기회가 빨리 오니 전투시 유리해 집니다.


2) '죽음의 선고(Doom, 死の宣告)'는 '에스나' 마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더보기

No. 죽음의 선고는 에스나(Esuna, エスナ)가 통하지 않고, 대신 만능약개(改), 치료 어빌리티, 좀비 상태 변화, 엘릭서, 텐트 등으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3) 마법 공격이라는 것은 성(聖) 속성 이외의 마법으로 공격하는 것이다.

더보기

No. 당연하지만 성 속성도 마법의 종류에 속합니다. 홀리 마법이 왜 있겠습니까?


4) '죽음의 선고(Doom, 死の宣告)'를 치료하는 마법은 없다.

더보기

Yes. 죽음의 선고를 해제하는 방법이 몇 개 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그게 가능한 치료 관련 마법은 없습니다.


5) 페인(Pain, ペイン)은 대상을 독, 침묵, 암흑 상태로 만드는 마법이지만 세 개의 상태변화를 동시에 일으킬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더보기

Yes. 세 개의 상태변화를 한꺼번에 다 걸리게 할 수만 있다면야 물론 좋겠지만, 그게 가능하려면 마력의 수치가 높아야 합니다. 아울러 페인 마법은 어디에 정션해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고기능성 마법입니다.


6) 호텔에 숙박하면 HP, 상태 변화 등이 전부 회복된다.

더보기

Yes. 사실입니다.


7) 스콜의 특수기(Limit Break)인 연속검 발동중에 X버튼을 누르면 연속검을 그만두는 것이 가능하다.

더보기

No. 연속검이 일단 발동되면 중간에 그만둘 수는 없습니다.


8) 더블(Double, ダブル) 혹은 트리플(Triple, トリプル) 마법으로 같은 마법을 여러 번 방출할 수 있다.

더보기

Yes. 이 게임에서 더블이나 트리플은 일단 적용되면 한 턴에 같은 마법을 여러 번 구사할 수 있게 됩니다. 더블이나 트리플도 어디에 정션하든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마법입니다. 참고로 서로 다른 마법을 조합해서 한 턴에 사용하는 마법은 파이널 판타지 5에 있는 연속마법 어빌리티같은 것이 그렇습니다. 


9) 석화(Petrify, 石化) 상태가 되어도 잠시 지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더보기

No. 석화는 전투후에도 지속되는 상태 변화이니 때맞춰 해제시켜줘야 합니다. 게다가 석화는 전투불능과 동일하게 취급되기 때문에 전원 석화에 걸리기라도 하면 그대로 게임 오버입니다.


10) 석화(진행)중에 금침(Soft, 金の針)을 사용한다 해도 카운터가 줄어드는 것이 멈추지는 않는다.

더보기

No. 석화(진행)중이든 석화 상태든 금침을 사용하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레벨 29>

1) 전투불능으로부터 회복시키는 아이템은 피닉스의 마음(Phoenix Heart, フェニックスの心)이다.

더보기

No. 해당 효과를 가지는 아이템은 '피닉스의 꼬리(Phoenix Down, フェニックスの尾)'가 맞습니다. 피닉스의 마음이라는 아이템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2) 전투불능 상태의 G.F.는 그냥 둬도 다음 전투에는 부활한다.

더보기

No.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GF도 일단 전투불능이 되면 아이템을 사용해서 부활시키든가 숙박하든가 해야 합니다.


3) 더블(Double, ダブル) 상태시 다시 더블 마법을 걸면 트리플(Triple, トリプル) 상태가 된다.

더보기

No. 더블과 트리플은 비슷한 용도의 마법이지만, 서로 별개로 작동하기에 그런 일은 없습니다.


4) '매직 업(Mag Up, マジックアップ)'은 마력을 1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아이템이다.

더보기

Yes. 이처럼 마법을 정션하지 않고도 특정 수치를 높여주는 다양한 아이템이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것들은 구하기 힘드니 특정 수치를 올리는 데에는 마법 정션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5) 적이 떨구는 아이템 확률을 바꾸는 '레어 아이템(Rare Item, レアアイテム)'이라는 어빌리티가 있다.

더보기

Yes. GF 바하무트가 해당 어빌리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보면 알겠지만 이게 마냥 좋지는 않고 차라리 강탈이 더 나을 때가 많습니다. 이 어빌리티가 빛을 발하려면 아예 특정 아이템을 확실히 가지고 있는 적에게 구사할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6) 게임 초반에 전파탑에서 싸웠던 갈바디아 군의 '빅스(Biggs, ビックス)'라는 인물은 대좌(Colonel, 大佐, 대령 정도) 계급이다.

더보기

No. 빅스는 그당시 소좌(Major, 少佐, 소령 정도) 계급이었으며, 전파탑에서의 실책으로 인해 이후 D지구수용소에서는 이등병(lieutenant, 二等兵)으로까지 떨어집니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아무리 실책을 저질렀어도 차라리 강제 전역을 당하게 되지 이 정도로 계급이 낮아진다는 것은 무슨 반란죄 정도가 아니면 있을 수 없습니다. 


7) 트리플(Triple, トリプル) 마법은 사용할 마법이 3개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

더보기

No. 이 문제는 다소 표현이 모호해서 헷갈릴 수 있습니다. 사용할 마법이라는 것이 별개의 마법인지 같은 종류의 마법인지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없기 때문입니다. 먼저 트리플 마법이란 일단 적용되면 한 턴에 같은 마법을 연속 3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마법입니다. 따라서 별개의 마법이 3개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트리플 상태에서 같은 마법을 사용하면 사용한 만큼 차감된다는 것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만약 어떤 캐릭터가 일단 자기자신한테 트리플을 걸었고, 파이어 마법을 3개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캐릭터가 자기의 턴이 돌아왔을 때 마법 커맨드를 선택하면 싱글인지 트리플인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마법을 한 개만 쓰려면 싱글, 세 개를 쓰려면 트리플을 각각 선택하면 됩니다. 트리플을 선택하고 파이어 마법을 고르면 마법을 적용할 대상을 연속으로 3번 고르게 됩니다. 성공하면 파이어 마법이 한 턴에 3번 날아가고 이 캐릭터에게 남아 있는 파이어 마법은 하나도 없게 됩니다. 만일 앞의 사례에서 파이어 마법이 2개만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연속으로 세 번 고르는 것은 되지만, 실행에 들어가면 파이어가 두 번 날아가고 끝납니다.


8) 아군 중에서 2인이 좀비(Zombie, ゾンビー) 상태인 경우 남은 1인이 혼란 상태가 되면 전멸한다.

더보기

No. 좀비나 혼란 상태라고 해서 전멸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9) 메테오(Meteor, メテオ) 마법에 있어서 공격 대상은 선택한 집단 내에서 무작위로 결정된다.

더보기

Yes. 메테오 마법이 시전되면 여러 운석이 무작위로 공격대상을 결정해서 떨어집니다.


10) '멜튼(Meltdown, メルトン)'은 적을 녹여버리는 마법이다.

더보기

No. 멜튼 마법은 상대방의 체력(Vit, 体力), 그러니까 물리방어력을 0으로 만드는 마법이라 녹이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레벨 30>

1) 스라스트에이비스(Thrustaevis, スラストエイビス)라는 몬스터는 핀치 상태가 되면 지진을 일으키므로 레비테트(Float, レビテト)를 가지고 있는 편이 좋다.

더보기

No. 스라스트에이비스는 새 모양의 몬스터로 공중을 날아다니기 때문에 지진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2) 전투불능이 아닌 멤버에게 레이즈(Life, レイズ)나 아레이즈(Full-life, アレイズ) 마법을 걸어도 특별한 의미는 없다.

더보기

Yes. 레이즈나 아레이즈는 전투불능인 대상을 깨우는 마법으로, 이미 전투불능 상태가 해제되어 있다면 다시 걸어봐야 마법 낭비입니다. 단, 좀비 상태인 대상에게 레이즈나 아레이즈를 걸면 즉사하지만, 좀비 상태라고 해서 전투불능은 아닙니다. 따지고 들면 좀비 상태는 전투불능이 아니고, 전투 불능이 아닌 대상에게 레이즈나 아레이즈를 걸면 죽어버리니 특별한 의미가 있는 거라고 주장할 수는 있겠지요. 어쨌든 문제의 의도는 전투불능 상태를 해제시키고 나서 다시 해당 마법을 걸면 뭔가 달라지는 것이 있느냐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3) HP 500의 G.F.를 소환중에 800의 대미지를 받는 경우 그 차이인 300만큼의 대미지를 소환한 사람이 받게 된다.

더보기

No. GF 소환중에 커다란 대미지를 받는다 해도 소환자에게 대미지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단, 상태 변화는 소환자에게 먹힐 수 있습니다.


4) 쿠알(Torama, クアール)이라는 몬스터는 '쿠알의 수염(Torama's Beard, クアールのヒゲ)'이라는 아이템을 떨어뜨린다.

더보기

No. 쿠알은 표범을 닮았고 긴 가닥의 수염이 있는 몬스터입니다. 그래서 낚이기 쉽지만 쿠알의 수염이라는 아이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쿠알은 생명의 반지(Life Ring, 生命の指輪)라는 아이템과 관계가 있는데, 이 아이템은 여러 용도로 쓰이는 좋은 아이템입니다.


5) 커스(Curse, カーズ)(저주) 상태시 오라(Aura, オーラ)를 걸면 상쇄되어 통상 상태로 돌아온다.

더보기

No. 커스와 오라는 상쇄되는 관계가 아니라 둘중에 나중에 걸린 상태 변화가 적용될 뿐입니다.


6) 그라 바이아(GraBia, グラ・バイア)라는 몬스터가 갈바디아 대륙에 있다.

더보기

No. 이 게임에 그런 몬스터는 없습니다.


7) 전투가 끝나도 침묵(Silence, 沈黙) 상태는 자연스럽게 회복되지 않는다.

더보기

Yes. 전투후 해제되거나 해제되지 않는 다양한 상태 변화가 있습니다. 침묵 상태는 전투후에도 지속되니 마법이나 아이템으로 치료하든지 숙박하든지 해야 풀립니다.


8) 리플렉트(Reflect, リフレク)로 인해 반사되는 마법은 그 마법을 발동한 사람에게로 향한다.

더보기

No. 왠지 그럴 것 같지만 리플렉트로 반사된 마법이 날아갈 대상은 무작위로 결정됩니다.


9) 석화 상태에서 다른 상태변화가 될 수도 있다.

더보기

No. 석화 상태는 전원이 걸리면 그대로 게임오버가 될 정도라서 의외로 강한 상태변화입니다. 실제로 게임내에서 다른 상태변화 상태에서 석화 상태가 되는 경우는 있어도, 석화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10) G.F가 어빌리티를 익히기 위해서는 어빌리티 포인트(AP, Ability Points)를 쌓을 수 밖에 없다.

더보기

No. 기본적으로는 그렇지만 게임내 존재하는 여러 특정 아이템을 이용하면 한방에 어빌리티를 익힐 수도 있습니다.

'파이널 판타지 8 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벨 25, 레벨 26, 레벨 27  (0) 2025.03.08
레벨 22, 레벨 23, 레벨 24  (0) 2025.03.08
레벨 19, 레벨 20, 레벨 21  (0) 2025.03.08
레벨 16, 레벨 17, 레벨 18  (0) 2025.03.08
레벨 13, 레벨 14, 레벨 15  (0) 2025.03.08